네트워크 상태 점검, 도메인 IP를 확인한다.
#ping [IP or Domain]
-t | 반복 수행 |
-n | 횟수 지정 |
-l | 팻킷(버퍼) 크기 변경 |
-r | IPv4 홉 경로 |
#ping google.com
ping에서 업그레이드 형태이다. icmp패킷 요청을 응답해주는 프로그램이다.(fping은 IP대역을 설정한다.)
#fping <option> [IP or Domain]
-g | 대상 목록을 보여준다. |
-a | 살아있는 타켓을 보여준다. |
-A | 주소별로 대상을 표시한다. |
-q | quiet |
-b | byte 단위로 데이터를 보낸다. |
-c | 각 타겟에 보낼 핑의 갯수를 정한다. |
-H | TTL 값 설정 |
-i | 패킷이 보내지는 시간(miilisec) |
-p | 하나의 타켓에 보내지는 핑의 사이의 시간(millisec) |
#fpinig -q -a -g IP/Subnet
Network address: 해당 IP가 있는 네트워크 주소(IPv4에서 IP 시작 부분 ex. 192.168.2.0/24)
Broadcast: 해당 네트워크에 있는 모든 호스트(IPv4에서 IP 끝부분 ex. 192.168.2.255/24)
Subnet: 호스트와 네트워크의 분리의 역할
Smtp-user-enum (0) | 2020.02.12 |
---|---|
Nikto (0) | 2020.02.12 |
DNS 정보 수집 (0) | 2020.02.11 |
Netcraft , Whois (0) | 2020.02.10 |
Google Hacking (0) | 2020.02.09 |
댓글 영역